본문 바로가기

재테크3

연봉 어떻게 올릴까? 현재 사회생활을 하고 있거나 장차 사회에 진출하게 되면 연봉협상을 하게 된다. 물론 경력이 쌓이다 보면 현재 받고 있는 연봉보다 높은 연봉 수준을 꿈꾸게 될 것이다. 그러나 사회는 냉엄하다. 꿈만 꾼다고 해서 이루어지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연봉을 높이기 위해서는 나름의 전략이 필요하다. 1. 업무 외 시간을 투자하라 자기 분야에서 일인자가 되겠다는 각오로 자기 계발을 꾸준히 해야 한다. ‘어떻게’에 길들여진 기술자가 아니라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이해하는 전문가가 되어야 한다. 근무 시간 이후에 시간을 쪼개 자격증을 획득하거나, 전문가들이 모이는 동아리 활동을 하거나, 야간 대학원 과정에 다니는 것도 좋다. 끊임없이 자신을 갈고닦아 언제든 보다 수준 높은 고용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 2024. 3. 7.
갭투자?? 내 돈 없이도 집 장만? 갭 투자가 뭐길래... 갭 투자는 전세를 끼고 부동산에 투자하는 독특한 투자 기법이다. 투자금을 은행에서 받는 것이 아니라 전세 제도를 통해 다른 사람으로부터 투자금을 무이자로 받는 것이다. 우리나라에 ‘전세’라는 제도가 있고, 부동산이 꾸준히 상승하였기에 생긴 투자 방법이다. 이를 테면, 5억 원짜리 부동산을 구매하면서 세입자로부터 전세 보증금으로 4억 원을 받는다면 실질적으로 부동산을 구입하는 데 들어간 내 돈은 1억 원인 셈이 된다. 이런 식으로 큰 목돈 없이도 부동산 투자를 할 수 있는데, 이는 집값 상승 수익이 월세 수익보다 높을 때 매력적인 투자 방법이다. 때문에 갭 투자로 많은 돈을 벌었고, 몇 십 채의 아파트를 샀다며 투자를 권유하는 무료 강의나 컨설팅을 주변에서 .. 2024. 2. 2.
퇴직소득세 절세 방법 한 직장에서 오래 일하면 절세? 근속연수 공제금액 5년 이하 100만 원*근속연수 6~10년 500만 원+200만 원*(근속연수-5년) 11~20년 1,500만 원+250만 원*(근속연수-10년) 20년 초과 4,000만 원+300만 원*(근속연수-20년) 퇴직소득세 계산에는 ‘근속연수’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근속연수는 근로자가 입사한 날부터 퇴직한 날까지의 기간을 말한다. 과거 퇴직급여를 중간정산(중도인출) 한 일이 있으면 마지막 중간정산(중도인출) 한 다음 날부터 퇴직한 날까지를 근속연수로 보며 근속연수를 산출할 때 1년 미만의 기간은 1년으로 본다고 한다. 이 근속연수가 길면 근속연수공제금액이 커지고 떼이는 퇴직소득세가 줄어든다고 하는데 즉, 오래 다닐수록 퇴직소득도 커지지만 그만큼 절세도 되는.. 2024. 1.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