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쌀수록 잘 팔리는 베블런 효과
일반적으로 제품가격이 오르면 수요가 줄어들게 마련이다. 그런데 가격이 올라도 수요에 변화가 없는 경우가 있다. 이런 현상을 흔히 ‘베블런 효과(veblen effect)’라고 한다. 쉽게 말해 가격이 오르는데도 일부 부유층의 과시욕이나 허영심으로 인해 수요가 줄지 않는 현상을 가리키는 말이다.
이 용어는 미국의 사회학자 베블렌(Thorstein B. Veblen)이 1899년 출간한 저서 《유한계급론》에서 “상층계급의 두드러진 소비는 사회적 지위를 과시하기 위해 자각 없이 이뤄진다”라고” 말한 데서 유래한다. 베블린은 이 책에서 물질만능주의를 비난하며 상류층 사회의 각성을 촉구한 것이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경기침체가 가중되는 가운데 최고급 수입차, 명품 가방, 최고급 가전제품, 고가의 귀금속류 등이 불티나듯 팔리는 현상을 들 수 있다. 물론 이중에는 제품이 꼭 필요해 사는 경우도 있지만 자신의 부(富)를 남에게 과시하거나 허영심을 채우기 위해 구입하는 경우도 많다. 그러나 보니 고가 명품은 값이 오를수록 수요가 더 느는 반면 값이 떨어지면 구매를 기피하게 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비쌀수록 잘 팔리는 현상은 우리 사회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특히 일부 대학생들 사이에서 명품 선호도가 절정에 달해 이른바 ‘명품족’이라는 말이 등장했으며, ‘된장녀’라는 신조어까지 생겼다.
물론 자본주의 사회에서 타인의 소비성향을 집단적으로 비난하는 행위는 문제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경제적 여유보다는 사치성 소비가 많아지고 있는 점은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이런 잘못된 소비행태가 급기야는 가짜 명품인 이른바 ‘짝퉁’의 대량 생산을 부추기고 있다는 점은 생각해 볼 대목이다.
희소성 심리를 자극하여 히트하는 한정판 제품
‘희소(稀少)’라는 단어가 무엇을 듯하는지 아는가? ‘희소’는 매우 드물고 적다는 뜻으로, 여기에서 나온 말이 희소성(稀少性)이다. 국어사전을 찾아보면 “인간의 물질적 욕구에 비해 그 충족 수단이 질적・양적으로 제한되어 있거나 부족한 경우를 가리키는 말”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모든 사람이 갖고 싶어 하지만 실제로 가질 수 있는 사람은 극소수라면 가치는 그만큼 올라가게 마련이다. 최근 일부 기업들이 사람들이 갖고 있는 희소성 심리를 적극 활용하는 마케팅 전략을 펼치고 있다. 대표적인 예가 바로 ‘한정판(Limited Edition)’제품이다. 그야말로 이번 기회가 아니면 더 이상 이 제품과 같은 고급 품목을 구입할 수 없다는 메시지를 전달해 소비자들의 소비욕구를 자극하는 마케팅 기법이다. 주로 자동차 등 고가 브랜드에 활용되어 온 전략이지만 점차 옷 등 비교적 싼 제품에도 이용되고 있다.
한 예로 모 휴대전화 업체가 2006년에 보석이 박힌 휴대전화 ‘애스턴 마틴’을 선보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 가격이 무려 2,000만~8,0002,000만~8,000만 원에 이르렀지만 없어서 못 팔 정도로 인기를 모았다고 한다. 또 다른 휴대전화 업체는 영국의 축구선수 데이비트 베컴을 모델로 세계에서 한 대뿐인 제품을 선보이기도 했다.
기업체가 이와 같이 한정판을 내놓는 이유는 한정판이 갖는 제품의 희소성 때문에 소비자들이 구매욕구를 더욱 자극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기업 입장에서는 단기간에 많은 제품을 팔 수 있다는 이점이 있어 ‘짭짤한 틈새 전략’으로 부상하고 있다.
물론 한정판에 숨겨진 함정도 만만치 않다. 특별한 기능을 추가하지 않은 채 ‘한정판’이라는 이름만 붙여 팔거나 정확한 한정 수량을 밝히지 않는 사례가 많기 때문이다. 한정판이라는 희소성에 ‘속는 대신’ 제품의 품질과 소장가치가 있는지 등을 충분히 파악해야 한다는 교훈을 제시하는 대목이다.
출처: 경제상식사전(김민구)
'금융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보스포럼 신조어 트라이벌리즘, 인포데믹스, 싱글 이코노미 (0) | 2024.01.24 |
---|---|
트리클 다운 / 골디락스 (0) | 2024.01.24 |
신소비자 계층 ‘블루슈머’ (0) | 2024.01.24 |
아웃소싱? 스핀오프? / 프로슈머 (0) | 2024.01.24 |
그레셤의 법칙/ 대체재와 보완재 (0) | 2024.01.24 |
댓글